식품 영양성분
DB

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(DB)를 활용하세요!

영양성분 데이터를 누구나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계기간이 협업하여 식품영양성분 통합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였습니다.
*협업기관 : 식품의약품안전처, 농림축산식품부, 교육부, 해수산부(국립수산과학원), 농촌진흥청

  • 식품영양성분통합데이터베이스를 소개합니다.
  • 영양성분데이터가 기관별로 분산 제공되어 연계나 활용하기 어려웠나요?
  • 식품영양성분통합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세요! 영양성분데이터를 누구나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이 협업하여 '식품영양성분통합데이터베이스'를 구축, 개방하였습니다. (협업기관: 식품의약품안전처, 농림축산식품부, 교육부, 해양수산부(구깁수산과학원), 농촌진흥청)
  • 식품영양성분통합데이터베이스란? 정부가 생산, 관리하는 영양성분데이터를 공공데이터 제공표준에 맞춰 가공, 정비하여 통합식품, 원재료성식품(농,축,수산물), 가공식품, 음식 총 4개의 데이터파일로 생성한 것 입니다.
  • 식품영양성분통합데이터베이스에서는 식품코드, 식품명칭, 24개의 영양성분 함량정보, 식품의 분류체계, 제조사명, 폐기율, 데이터 출처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. 통합식품영양성분정보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 1) 식품코드: 각 식품에 대하여 17자리의 코드 부여(식품코드는 식품별 분류 정보를 포함) 2) 식품분류: 식품은 원재료성식품, 가공식품, 음식으로 분류하고 각 식품별 세부 분류 정보를 제공. 3) 영양성분: 에너지, 탄수화물, 단백질, 지질, 당류, 총 포화지방산, 트랜스지방산, 콜레스테롤, 총 식이섬유, 비타민A, 베타카로틴, 레티놀, 티아민, 리보플라빈, 니아신, 비타민C, 비타민D, 칼슘, 인, 나트륨, 칼륨, 철, 수분, 회분. 4) 그 외 정보: 데이터 생성일자, 출처명, 출처코드, 폐기율, 제조사명, 1회 섭취참고량, 수업업체명, 외식업체명 등. 그 외 정보는 식품별로 제공 정보가 상이합니다.
  • 식품영양성분통합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파일, 공개 API로 제공하는 표준데이터이기 때문에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.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필요한 곳에 활용해보세요. (공공데이터포털 검색어 '영양성분')

1 / 6